반응형
2025년 2차 민생안정지원금 안내 (소비쿠폰 형태)
■ 1. 지원 시작 시기
- 지급 개시일: 2025년 9월 22일(예정)
- 지급 방식: 지자체별 순차 지급 예정이며, 대상자에게는 문자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개별 안내됩니다.
■ 2. 지원 목적
- 고물가 및 경기 침체에 따른 서민 부담 완화
- 취약계층의 소비 진작 및 지역경제 활성화
- 소비쿠폰 형태로 지급되어 지역 내 소비를 촉진
■ 3. 지원 자격 기준
2025년 6~7월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소득 하위 90%에 해당하는 만 19세 이상 성인이 지원 대상입니다.
- 직장가입자, 지역가입자, 피부양자 포함
- 가구 단위 건강보험료 합산 기준 적용
- 맞벌이 가구의 경우 가구원 수를 1인 추가하여 산정
▶ 건강보험료 기준표
가구원 수 | 직장가입자 | 지역가입자 |
---|---|---|
1인 가구 | 170,000원 이하 | 180,000원 이하 |
2인 가구 | 230,000원 이하 | 240,000원 이하 |
3인 가구 | 273,000원 이하 | 280,000원 이하 |
■ 4. 제외 대상 (정확하고 구체적인 기준)
① 소득 상위 10% 초과자
- 직장가입자: 월 건강보험료 273,380원 초과
- 지역가입자: 월 건강보험료 209,970원 초과
- 가구 단위 합산 기준 (피부양자 포함)
② 고액 자산 보유자
- 부동산: 재산세 과세표준 9억 원 초과 (공시가 약 15억 원, 시세 약 20억 원 수준)
- 금융소득: 연간 금융소득 2천만 원 초과 (이자·배당 포함)
③ 기타 제외 기준
- 형식상 저소득이지만 실제 고소득 자영업자
- 고급 외제차, 요트 등 사치성 자산 보유자
- 지방세 체납자 (지자체별 판단 기준)
④ 예외 인정 기준
- 1인 가구: 건강보험료 기준 일부 완화 적용 (예: 17만 원 이하 인정)
- 맞벌이 가구: 가구원 수 1인 추가하여 산정
■ 5. 지원 금액 및 지급 방식
- 지원 금액: 1인당 약 20만 원 (지자체별 소폭 차이 가능)
- 지급 형태: 지역화폐 또는 선불카드
- 사용 기한: 지급일로부터 3개월 이내
- 사용 제한: 지역 내 소비 전용 (대형마트,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는 사용 제한될 수 있음)
■ 6. 신청 및 확인 방법
- 별도 신청은 필요하지 않으며, 정부가 자동으로 대상자를 선별합니다.
- 대상자에게는 문자 또는 우편으로 개별 안내됩니다.
- 지원 대상에서 누락된 경우, 이의 신청이 가능하며 지자체를 통해 안내될 예정입니다.
📌 요약 한눈에 보기
지급 시작일 | 2025년 9월 22일 (예정) |
---|---|
지원 대상 | 소득 하위 90% 성인 (가구 단위 건강보험료 기준) |
제외 대상 | 상위 10% 초과자, 고액 자산가, 사치성 자산 보유자 등 |
지원 금액 | 1인당 약 20만 원 |
지급 방식 | 자동 선별, 지역화폐 또는 선불카드 형태 지급 |
이번 2차 민생안정지원금은 정부와 지자체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긴급 민생 회복 사업입니다. 형평성을 높이기 위해 건강보험료와 자산 기준이 정밀하게 적용되며, 신청 절차 없이 대상자가 자동 선별됩니다.
자세 한 사항은 거주지 관할 시·군·구청 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반응형
'사랑하고 > 일상생활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생활정보]2025년도 주민등록 비대면 사실 조사 안내 (정부24앱) (3) | 2025.08.21 |
---|